본문 바로가기
알쓸신잡

공시가격 2억 원 단독주택을 부모님께 증여할 때 세금 및 절차 완벽 정리

by soteraven 2025. 3. 10.

1. 부모님께 주택 증여 시 세금은 얼마나 나올까?

📌 증여세 계산하기

부모님께 부동산을 증여할 경우, 증여세 기본 공제액이 적용됩니다.

공시가격: 2억 원
증여세 기본 공제(직계존속): 5,000만 원
과세표준: 2억 원 - 5,000만 원 = 1억 5,000만 원

💰 증여세율 적용
증여세율은 과세표준에 따라 다릅니다.

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액

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
1억 원 이하 10% 없음
5억 원 이하 20% 1,000만 원

 

증여세 계산:
(1억 원 × 10%) + (5,000만 원 × 20%) - 1,000만 원 =
1,000만 원 + 1,000만 원 - 1,000만 원 = 1,000만 원 (신고세액공제 전)

💡 증여세 신고세액공제 적용 시
증여세를 3개월 내 신고하면 **세액의 3%**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✔ 1,000만 원 × 3% = 30만 원
✔ 최종 증여세: 970만 원

💡 요약:
📌 부모님께 증여 시 970만 원 정도의 증여세 발생


 

2. 증여세 외에 추가로 내야 할 세금은?

✅ 부모님이 내야 하는 취득세

부모님께서 증여를 받은 후, 취득세를 내야 합니다.

  • 공시가격 1억 원 초과 주택: 취득세율 3.5% 적용

취득세 계산
2억 원 × 3.5% = 700만 원

💡 요약:
📌 부모님이 내야 할 취득세: 700만 원


 

3. 기타 유의할 점 (양도세, 증여 후 5년 내 매도 시 문제점 등)

✅ 증여 후 5년 내 매도하면 양도세 부담 커짐

부모님께서 증여받은 주택을 5년 내 매도하면 양도세 계산 시 증여자가 취득한 가격이 아닌, 증여 당시의 공시지가가 적용됩니다.

✔ 만약 부모님께서 5년 이내 매도할 계획이 있다면, 증여보다 매매로 진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.


 

4. 지방 단독주택 증여 절차 (한눈에 정리)

📌 1️⃣ 채무 정리

  • 주택에 남아 있는 빚(대출 등)을 모두 청산 후 증여 진행

📌 2️⃣ 증여 계약서 작성

  • 부모님 중 한 분과 증여 계약서를 작성

📌 3️⃣ 증여세 신고 (3개월 내)

  • 증여 후 3개월 내 관할 세무서에 신고
  • 전자신고 가능 (홈택스 이용 가능)

📌 4️⃣ 취득세 신고 및 납부 (60일 이내)

  • 증여 등기 후 60일 이내 취득세 납부

📌 5️⃣ 등기 이전 진행

  • 증여받은 부모님 명의로 등기 변경

 

5.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?

부모님 공동 증여 고려하기

  • 한 분이 아닌 부모님 두 분께 각각 5,000만 원씩 증여하면, 공제 혜택이 1억 원이 되어 증여세를 아예 내지 않아도 됨.

매매 방식 고려하기

  • 증여보다는 부모님께 시세보다 낮은 금액(시가의 30% 이상)으로 매매하면 취득세 절감 가능.

미리 증여하는 방법

  • 증여는 한 번에 큰 금액을 주는 것보다 10년 단위로 나누어 증여하면 공제 혜택 극대화 가능.

 

📌 결론 요약

증여세: 약 970만 원 (기본 공제 후)
취득세: 약 700만 원 (공시가격 기준)
5년 내 매도 시 양도세 불리장기 보유 추천
부모님 두 분께 나누어 증여하면 세금 절감 가능
매매 방식 고려 시 취득세 절감 가능

 

📌 부모님께 증여 전, 세금과 절차를 충분히 검토 후 진행하세요!